글번호
167403

국제성모병원 김영욱 교수, 무릎연골연화증 새 진단법 제시

수정일
2023.08.29
작성자
이유준
조회수
242
등록일
2023.08.29

external_image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김영욱 교수가 연구논문을 통해 무릎연골연화증의 새로운 진단방법을 제시했다.

 

무릎연골연화증은 무릎뼈의 관절 연골이 여러 원인으로 연화돼 약해지거나 손상을 입은 상태로젊은 여성에서 많이 발병한다부종이 있는 저등급 단계를 시작으로 고등급으로 진행되면 연골 전체에 균열이 가고 손상이 생긴다.

 

김영욱 교수는 무릎연골연화증은 신속·정확한 진단이 중요한데 가벼운 무릎 통증으로 오인해 진단이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며 진단이 늦어질 경우보존적 치료가 아닌 수술이 필요할 수 있어 무엇보다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무릎 MRI(자기공명영상)를이용해 무릎연골연화증의 환자 50명과 정상인 50명의 슬개연골 단면적을 비교분석했다연구결과 무릎연골연화증 환자의 슬개연골 단면적은 부종으로 평균 29.81㎟ 증가한 상태였으며이로 인해 마찰이 심하게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검사로 유병자를 골라내는 지표인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72%로 측정됐다.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김 교수는 저등급성 무릎연골연화증 환자에서 커진 슬개연골의 단면적은 진단을 위한 유의미한 지표였다며 질환을 신속·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어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김 교수의 이번 연구는 저등급성 무릎연골연화증 환자에서 슬개연골 단면적 평가'라는 제목으로 국제적 SCI 저널인 ‘Medicine` 8월호에 게재됐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